본문 바로가기

복지119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총정리(조건,신청,서류,자가진단표,모의계산)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소득의 소비를 줄여 저축할 경우 저축분의 일부를 비율로 구분하여 정부가 일정금액·근로소득 장려금을 지원하고 최대 3년간 충족할 경우 만기 시 최대 144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는 청년 정책 상품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목차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조건 구분 차상위 이하 차상위 초과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연령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근로기준 월 10만원 이상 근로·사업소득 발생 월 50만원 초과 ~ 월 220만원 이하 가구재산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 지원액 매월 30만원 매월 10만원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가입 및 유지소득 상한 기준.. 2023. 3. 30.
2023년 청년희망적금 신청기간 및 만기금액 알아보기 청년희망적금은 청년층의 안정적이고 장기적 자산관리를 지원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청년 자산 중 예금·적금 등 안전자산 비중을 높여 보다 적절한 자산부배를 유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희망적금의 신청기간 및 만기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청년희망적금 신청조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 만 34세 이하 청년이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현역병, 상근예비역 및 의무경찰·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 ② 직전 과세기간(22.1~12월)의 총급여가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이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③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 ④ 직전 과세기간(22.1~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 2023. 3. 30.
2023년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방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 2023년에는 취업애로청년들이 보다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더욱 오래 일할 수 있도록 개편이 되었습니다. 2022년 수준에 비해 지원 수준이 확대되었고, 지원기간은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나고 채용청년 1인당 지원금 또한 960 만원에서 최대 120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지원대상인 "취업애로청년"의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2023년부터는 보호연장 청소년과 청소년쉼터 입퇴소 청년, 북한이탈 청년도 포함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의 신청방법과 신청조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최장 2년간 최대 1,200만 원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사회에 첫발을.. 2023. 3. 29.

loading